페이스북 광고 캠페인단에서 가장 먼저 설정하는 것이 바로 '구매 유형'이다.
경매 기반의 구매 방식
경매는 광고 관리자의 기본 구매 옵션이다. 광고 경매를 통해 정해진 시점에 타겟에서 표시될 최적의 광고를 결정한다. 광고를 보는 사람과 비즈니스의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해 경매 낙찰자는 총 가치가 가장 높은 광고로 결정된다. 총 가치는 '입찰가, 추산행동률, 광고품질' 3가지 주요 요인을 조합하여 결정된다.
· 입찰가 : 해당 광고에 설정한 입찰가로 원하는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지불할 의향이 있는 금액
· 추산행동률 : 특정인이 특정 광고에 반응하는 행동의 추정치. 타겟에게 광고를 노출해 광고주가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가능성을 말함
(참고: 낚시성 콘텐츠와 참여 유도를 위한 낚시성 콘텐츠를 사용하면 광고 성과를 개선하지 못함)
· 광고품질 : 광고를 보거나 숨기는 사람들의 피드백 및 품질 등 다양한 요소를 평가하여 측정
어떤 사람에게 관련성 높은 광고는 입찰가가 더 높은 광고와의 경쟁에서 이길 수 있다. 광고 관련성 진단을 사용하여 게재한 광고가 도달한 타겟과 관련이 있는지 확인해보는 것이 좋다.
광고 품질과 관련성을 개선하거나, 광고 유형과 광고 제품을 테스트 또는 지원하거나, 법률을 준수하거나, 정책을 시행하거나, 경매를 최적화하는 등 경매 결과와 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광고를 노출하는 데 입찰가보다 많은 비용이 청구되지는 않는다.
도달 및 빈도 구매방식
도달 및 빈도 구매 유형을 사용하면 광고 게재를 예측하고 캠페인의 빈도를 더욱 세밀하게 관리하여 캠페인을 미리 계획하고 구매할 수 있다. 타겟에 기반해 고정 CPM 선택이 가능하므로 캠페인을 예약하기 전에 지불해야 하는 금액이 확인 가능하다.
· 도달 및 빈도 구매 옵션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
- 200,000명을 초과하는 타겟에게 도달
- 광고 도달 범위의 예측 가능성이 중요한 경우
- 사람들이 광고를 보는 횟수(빈도)를 제어
- 캠페인을 미리 계획하고 예약해야 하는 경우
'경매'와 '도달 및 빈도'의 차이점
구분 | 경매 | 도달 및 빈도 |
빈도 관리 | 도달 목표에 대해서만 빈도 한도를 유연하게 설정 | 선택한 모든 목표에 대해 유연한 빈도 한도를 설정 |
게재 옵션 | 자동으로 가장 성과가 높은 광고를 파악하고 세트에서 해당 광고를 가장 많이 게재함 | 일반 게재 외에도 순서나 일정에 따라 게재할 수 있는 옵션 제공 |
예측 가능성 | 전반적인 도달 결과는 예측 불가(이일 도달만 예측 가능) | 전체 도달 결과 예측 가능 |
가격 | 시장 상황에 따라 경매가격이 크게 달라짐 | 노출에 지불할 고정 CPM을 정하면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입찰 |
일정 설정 | 요일별, 시간별 자유롭게 광고 일정 설정 가능 | 광고를 게재할 시간은 설정할 수 있으나 요일은 설정 불가. 최소 24시간 설정 가능 |
최적화 | 캠페인 목표에 부합하는 이벤트에 대해 게재를 최적화 | 목표와 노출 간에 자동으로 최적화 |
타겟팅 | 맞춤 타겟 핵심 타겟 등 유연하게 사용 가능 | 여러 국가 타겟팅은 가능하지만 동일한 대륙에 있는 경우에만 가능. 맞춤 타겟 사용 불가 |
▼ 페이스북 광고 캠페인의 목표 선택 방법이 궁금하다면?
페이스북 광고 캠페인 목표는 뭘 선택해야 할까?
페이스북 광고에서 캠페인은 광고 세팅할 때 가장 초기 단계로 목표(KPI, Key Performance Indicator ; 핵심성과지표)를 정립하고 광고 운영의 틀이 되는 가장 큰 범위의 단계이다. ▼ 페이스북 광고 구성
marketerg.tistory.com
'마케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러스트레이터 세팅 - 새로 만들기 & 도구 셋팅 (0) | 2022.04.24 |
---|---|
SNS광고마케터 1급 샘플 문제 A형 풀이 (0) | 2022.04.20 |
페이스북 광고 캠페인 목표는 뭘 선택해야 할까? (0) | 2022.04.11 |
페이스북 광고의 3단 구성 (캠페인, 광고세트, 광고 뜻) (0) | 2022.04.11 |
페이스북 광고 용어 (도달, 빈도, 전환 등) (0) | 2022.04.10 |